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근골격계 구조와 기능
    임상로그/📖 스터디로그 2021. 12. 18. 15:53
    척주(Vertebral column)은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추5개, 미추1개로 구성되어 있다.

    자 고개를 푹 숙이고 목 뒷 편을 만져보면 툭 튀어나온 부분이 있을 것이다.
    그 부분이 경추 7번이다. 2개가 만져진다면 경추 7번과 8번이다.

    # 뼈의 구조
    - 피질: 밀도 높고 세밀한 뼈 조직, 치밀골이라고도 한다.(compact bone)
    - 수질: 스펀지 같은 망상 구조, 해면골(sponge bone)
    - 골수(Bone marrow): 해면질 공간을 채우는 반액체 물질, 적골수(조혈작용)와 황골수(지방세포) 포함
    - 골간(diaphysis): 골체부
    - 골단(epiphysis)
    - 하버시안계: 뼈를 구성하는 구조적 단위, 모세혈관을 포함하는 복잡한 통로망
    - 관통관(Volkmann cannal): 골막에서 골속으로 들어가는 혈관의 통로

    # 뼈의 구성
    1. 골기질(matrix): 유기체의 뼈대, 골세포 속에 있는 물질로서 유기질과 무기염으로 구성
    - 유기질: 뼈의 탄력성과 유연성을 갖게 하여 강한 압력에 견딜 수 있는 힘을 제공(교원섬유, 단백질)
    - 무기염: 뼈를 단단하고 강직하게 만듦(칼슘, 인산, 마그네슘, 불소, Na, Cl와 같은 무기물질의 혼합 침전물)
    2. 골세포(Bone cell): 저번에 포스팅한 영상을 보면 더 잘 이해가 될 것이다.
     - 골아세포(osteoblast): Bone forming cell.
     뼈를 만드는 작요으 즉 골화작용. 골화작용은 연골세포가 골단판내에서 증식 후 뼈세포로 대치
    - 파골세포(osteoclast): destroying cell
    뼈를 파괴시키는 다핵세포, lysosomal enzyme을 분비하여 뼈속의 칼슘, 인산을 혈류로 방출
    - 골세포(Osteocyte): maturing cell
    성숙한 골아세포, 뼈 형성작용과 용해작용에 능동적으로 관여(Sense가 있어 골아세포와 파골세포에 정보를 전달하여 조절한다.)
    3. Bone marrow 골수
    - 적골수: 조혈작용(두개골, 척추, 늑골, 흉골, 어깨, 골반 등에 많다.), 적혈구가 많으므로 골수조직이 붉게 보임.
    - 황골수: 생후 골조직에 지방세포가 침착된 경우로 육안적으로 황색으로 보임, 조혈작용 거의 안함.

    # 뼈의 기능
    - 지지기능: 신체의 형태와 모양 유지, 신체조직과 기관을 지지
    - 보호기능: skull은 brain을 보호, Ribs와 sternum은 lungs, heart와 같은 내부 장기 보호, Verterbrae는 spinal cord를 보호한다.
    - 조혈기능: 조혈작용하는 적골수가 있기 때문이다.
    - 무기질저장: 뼈 안에 칼슘의 99%와 phosphorous의 85%를 저장하고 있다.
    - 지방저장

    # 뼈의 성장
    - 길이 성장: 골단판연골의 골화와 성장(18-25세 사이에 성장 중단)
    - 부피 성장: 뼈 조직의 주위에 골아세포가 침착하여 새로운 뼈층을 만들면서 두꺼워진다. 나이가 들수록, 특히 폐경 이후 성장이 느려진다.
    - 골흡수: 파골세포에 의해 뼈 안쪽의 골세포를 용해시켜 골수강의 크기를 증가시긴다.
    - 자극: 적절한 자극 받는 뼈는 골화량이 증가한다. 골아세포 활동의 활동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자극을 받지 않는 뼈는 파골세포가 증가하여 뼈를 융해(재흡수)한다.
    - 유전
    - 영양: 칼슘, 인, 단백질. (골기질의 성분)
    - 비타민 D: 소장에서 칼슘, 인 흡수에 필수적이다.
    - 비타민 A, C: 골화과정에서 필요
    - 호르몬: Calcitonin, 부갑상선 호르몬, 성장호르몬, glucocorticoid, estrogen, testosterin, thyroxin, insulin

    # 뼈의 대사
    - 칼슘과 인: 뼈에는 체내칼슘의 99%, 체내 인의 90%를 포함.
    혈청칼슘 농도가 저하되면 부갑상선 호르몬은 뼈로부터 칼슘을 분리하기 위해 뼈 분해활동을 자극한다. 위장관은 칼슘의 흡수를 증가 또는 신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증가시킨다.
    - Calcitonin: 갑상샘에서 생성된다. 혈청내 칼슘 농도가 높을 때 칼슘을 낮추는 역할로. 파골세포에 의한 뼈의 흡수를 억제하고 칼슘이온의 흡수를 증진해 골다공증을 예방한다.
    - 비타민 D: PTH 자극에 의해 활성비타민D3형으로 변해 장에서 칼슘의 재흡수가 증진된다. 체내 비타민 D부족하면 골연화증이 발생한다.
    - 부갑상선 호르몬(parathyroid H): 분비 증가되면 뼈의 파골작용촉진 되어 혈액내로 칼슘방출, 신장에서 칼슘배출 감소, 소장에서 칼슘흡수촉진
    -Estrogen: 조골활동 자극, 부갑상샘 호르몬 억제. 폐경기 여성은 에스트로겐 저하로 칼슘저하와 골손실 옴.
    - Testosteron: 동화작용 증가하여 골량 증진, 골다공증 진단시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처방.

    #관절의 구조와 기능
    관절은 2개 이상의 뼈와 뼈가 만나는 부분이며 기능은 신체의 움직이는 범위 결정.

    #관절의 종류
    1. 섬유성관절- 부동관절
    봉합관절(유합, suture joint): 뼈들이 섬유 결합조직에 의해 단단하게 연결된 모든 관절. ex) 두개골
    인대결합 관절(syndesmosis, ligmentous joint): 인대로 연결 좌우로 약간 움직임
    2. 연골성관절- 제한적. 섬유성관절보다 약간 더 움직일 수 있는 관절. ex) 치골결합, 척추사이
    연골결합(synchondrosis): 뼈로 대치됨, 골단과 골간 사이, 늑골 관절
    섬유연골결합(symphysis): 관절 내 충격 흡수, 약간만 움직임. 추골판
    3. 활막관절(synovial joint): 가동관절(자유롭게 움직임)
    체위와 움직임 변화, 인체 대부분의 관절, 무릎과 고관절 등
    *구조
    - 관절강: 활액망에서 생산된 액으로 채워짐
    - 관절연골: 마찰방지, 충격흡수, 탈구방지(신경, 혈관 없음)
    - 활액망: 활액분비, 관절윤활, 영양공급
    - 활액낭: 활액이 들어있는 작은 주머니, 마찰지점과 건 및 인대와 뼈 사이에 위치함
    - 인대: 관절낭을 강화, 움직임 제한
    - 관절판: 충격완화 위해 연골관절 사이 위치
    http://blog.naver.com/sungsehun/220635505766  활막관절 구조가 그림으로 잘 설명되어 있는 블로그 게시글입니다.

    # 골격근의 기능
    - 뼈를 움직이게 하는 힘을 제공
    - 몸의 자세 유지
    - 열생산하여 체온 유지

    # 근육의 분류
    - 골격근: 수의근, 횡문근
    대부분 골격에 부착, 신체 운동에 참여. (골격이 수축하면서 뼈를 잡아당기고 움직이게 됨.)
    - 평활근: 불수의근, 자율신경이 있음.
    - 심근: 불수의근, 자동성이 있음.

    # 부속 기관
    - 건(Tendon): 결합조직으로 근육과 뼈를 부착시킨다. 근육이 수축하면서 건을 잡아당기고, 건은 부착된 뼈를 잡아 당겨서 움직이게 된다.
    - 인대(Ligament): 섬유성 결합조직으로 뼈와 뼈를 연걸한다.
    - 활액낭(Bursa)=점액낭: 서로 반대되는 동작을 용이하게 해주는 점액으로 채워진 작은 주머니.
    피부와 뼈, 근육과 뼈, 건과 뼈, 인대와 뼈, 근육 사이 움직일 때마다 마찰을 감소시키는 완충작용.

    # 노화로 인한 변화와 간호
    - 골밀도 감소- 골다공증, 낙상 예방, 체중 부하 운동
    - 근육퇴화, 근력감소- 등척성 운동 교육
    - 뼈 돌출 증가- 압박 피하도록.
    - 척추후만 자세- 적절한 신체역학 교육, 팔 지지할 수 있는 의자
    - 연골퇴화, 강직- 샤워 등으로 습열 제공
    - ROM 감소- ADL사정, 자가간호 돕기
    - 움직임 느려짐- 인내심을 가질 것

    '임상로그 > 📖 스터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하면 산모에게 일어나는 변화들  (0) 2021.12.18
    근골격계 간호 사정  (0) 2021.12.18
    아동간호 의학용어 정리  (0) 2021.12.18
    법정 감염병  (0) 2021.12.18
    노인 간호학의 이해  (0) 2021.12.13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