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노인 간호학의 이해
    임상로그/📖 스터디로그 2021. 12. 13. 21:26

    1. 노화 또는 노인의 의미변화
    1) 1600년대만 하더라도 노화의 과정은 신을 향한 성스러운 순례의 길(서양에서)이라고 인식이 되었어요. 노인들은 존경을 받았죠. 이것은 동양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삶의 지식을 갖춘 예의를 갖추어야 할 높은 분으로 인식되었습니다.
    2) 1800년대 산업화가 점점 시작되면서 노화가 평가 절하되고 젊음이 성장과 팽창의 상징이 됩니다.
    3) 1935년 미국에서 사회보장제도가 수립되고 그에 따라 65세가 노인의 기준이 되는 나이가 됩니다.
    4) 2000년대 미국에서는 연금수당 수혜 기준에 따라 노인의 기준이 70세로 변화합니다.

    2. 노인 인구 cohort(통계적으로 동일한 특색이나 행동 양식을 공유하는 집단)
    - 65~74세: 연소노인(young-old)
    - 75~84세: 중고령 노인(middle-old)
    - 85~99세: 고령 노인(old-old)
    - 100~109세: 센티네리언(centenarian)
    - 110세 이상: 슈퍼센티테리언(supercentenarian)

    3.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역사
    ex) 19세기에 출생한 여성들은 역할이 육아와 가사노동으로 제한되었습니다. 역할은 노화에 영향을 미치죠. 매일 삽으로 땅을 파는 일을 하는 사람과 매일 목을 과신전시켜 과일을 따는 사람이 많이 쓰는 근육이 다른 것처럼요!
    1950년대에 출생한 한국 사람들은 6.25전쟁을 공통적으로 경험했습니다. 전쟁 또한 노화에 영향을 미치겠죠.
    - 성별
    여성은 출산과 폐경이라는 특별한 시기를 갖기 때문에 남성과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남성들이 가장 빨리 늙는 부위가 교수님께서 허벅지 뒤편, 엉덩이 부분이라고 하시더라고요.
    - 인종
    피부색에 따라서 피부를 보호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피부가 노화하는 속도가 다르겠죠?
    - 건강상태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절대 안정 환자들의 몸에는 매일 근육소실이 일어납니다. 용팔이에서 김태희가 몇 년간 누워만 있었기 때문에 도망가기 위해서 다리 운동을 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4. 노인의 인구학적 특성
    1) 노인인구의 증가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총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7% 이상인 사회를 말합니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 고령 사회(aged society): 총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14% 이상인 사회를 말합니다. 우리나라는 2018년에 진입 예정입니다.
    -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 총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20% 이상인 사회입니다. 우리나라는 2026년에 진입 예정입니다.
    2)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증가률
    일단 2013년에 65세 이상 노인 비율이 12.2%였습니다. 1970년에 3.1%이었기 때문에 이 같은 증가 속도라면, 2030년에는 24.3%, 2050년에는 37.4%로 전망됩니다.
    80세 이상 초고령 인구 비율은 2013년에 0.9%에서 2030년에는 2.5%, 2050년 7.7%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3) 평균수명의 연장(한국)
    2000년에 남성 72.1세 < 여성 79.5세 입니다. 2020년에는 남성 78.2% < 여성 84.4세로 양성에서 늘어나고 양성간 차이는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노인남성 수 < 노인여성 수
    4) 인구구조의 변화(한국)
    유년기 인구는 감소하고 노년기 인구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5) 세계의 노화 (Global aging)
    - 2050년 까지 전세계 60세 이상 인구는 15세 이하 인구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100세 이상 인구는 현재 27만 명이지만 2050년에는 230만 명으로 증가될 것으로 보입니다.
    - 젊은 인구 감소: 노인 인구의 욕구 충족을 위한 경제적 지원 및 돌봄 지원의 감소를 뜻합니다.
    - 일본: 2007년에 이미 60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27.9%(가장 높음)
    - 아프리카: 노인인구가 가장 느리게 증가하는 지역이며, 상대적으로 젊은 인구가 많습니다.

    * 건강의 개념
    - 건강은 문화와 연령에 의해 영향을 받세 이상 노인의 28.4%, 85세 이상 노인의 67.4%가 습니다.
    - 안녕(Wellness)은 개인의 모든 요소(육체적, 감정적, 정신적, 영적)를 포함합니다.
    - 기능적 능력은 가족과 함께 삶을 즐기기 위해 독립적으로 살기 위한 개인의 능력입니다.

    5.노인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간호문제
    1) 만성질병의 증가
    -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81.3%가 만성질명을 1개 이상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평균 1.9개)
    - 34개 이상인 경우도 30.7%라고 하네요.
    - 고혈압, 관절염, 요골/좌골 신경통, 당뇨, 골다공증이 그 예입니다.
    2) 기능상태 저하
    - ADLs, IADLs
    -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28.4%, 85세 이상 노인의 67.4%가 제한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3) 노인의료비의 급격한 증가
    - 2014년 건강보험 상 65세 이상 고령자 진료비는 19조 3,551억원으로 전체 진료비 54초 5,275억원의 35.5%를 차지합니다. 고령화의 영향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2014년 고령자 1인당 진료비는 322만원입니다.
    4) 노인의 중요 사망원인
    - 2014년 65세 이상 사망원인 1위는 암으로 인구 10만명단 827.4명이 사망하였고, 다음은 심장 질환(399.0명), 뇌혈관 질환(323.6명), 폐렴(177.5)명의 순으로 나타납니다.(남녀 같음)

    6. 건강한 노화(Healthy aging)- 건강의 관점에서 보는
    - 질병의 부재보다는 기능적인 능력에 초점.
    - 기증적인 상태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요인, 사횢거 상호작용 정도, 결혼 상태, 개인의 생활 상황 및 환경과도 밀접하게 연관됨.
    - 개인이 질병을 갖고 있다고 할지라도 가지고 있는 병적인 상태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강점, 회복력, 자원, 능력을 강조.
    - 건강한 상태로 가는 도중의 정체기 또는 건강수준의 퇴보(질병 또는 갑작스러운 위기): 성장을 위한 잠재적인 자극제이자 건강 연속선을 따른 움직임으로 회복될 수 있음.
    관리, 치료를 통해 훨씬 더 성장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적절한 대응기제를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외상 후 성장이라고 합니다.

    7. Maslow의 욕구단계이론(Hierarchy of human needs)
    - 특정 기간 또는 상황에서 개인과 그들의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 틀입니다.
    -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낮은 수준부터 순차적으로 충족되어야 합니다.
    - 노인간호사들은 노인들의 욕구가 충족되어 높은 안위 수준에서 기능을 발휘하고 있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이 이론은 간호사정단계에서 노인간호중재의 우선순위 설정을 위 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8. 노인간호의 특성
    - 노인간호는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고용 분야입니다.(고령화사회이기 때문이겠죠)
    - 노인은 건강관리의 핵심 소비자군(가정간호, 장기요양시설, 주간 보호 등)
    - 노인들은 외래 방문율이 가장 높은 집단
    - 간호사들의 노인간호에 대한 관심은 낮은 편입니다.


    '임상로그 > 📖 스터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간호 의학용어 정리  (0) 2021.12.18
    법정 감염병  (0) 2021.12.18
    수술명 정리  (0) 2021.12.13
    수술 후 폐 합병증 예방을 위한 폐 운동법  (0) 2021.12.13
    마취의 종류  (0) 2021.12.13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