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건강간호 기본 개념임상로그/📖 스터디로그 2021. 12. 13. 21:13
1. 여성건강간호란?
여성건강간호는 인간의 성 특성을 중심으로 여성의 전 생애를 통해 건강유지, 증진, 질병예방과 회복에 관련된 편치 않음을 간호하며 가족중심 접근 방법을 적용한 간호입니다.
2. Smith의 건강모형
- 행복모형: 일반적인 안녕과 자아실현 포함
- 적응모형: 유기체가 환경과 융통성있는 적응을 유지하고 상호작용 하는 것
- 역할수행모형: 상식적인 기준에서 자신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잘 수행할 수 있는 상태
- 임상적모형: 증상이나 징후가 없는 상태 (질환중심)
3. 생정통계
- 출산율: 가임여성(15-49세) 1000명에 대한 1년간 총 출산 수
- 합계출산율: 가임여성 1명이 일생동안에 낳은 출생아수(이것 구하는 방법이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지역사회간호학에서
배우시게 됩니다.)
- 사산 또는 태아사망률: 임신 20주 이상의 태아가 출산전에 자궁내에서 사망하는 것
(20주라는 기준이 참 중요하다고 하셨다. 20주 전에 사망하면 유산으로 20주 이후에 사망하면 사산으로 본다.)
- 신생아 사망률: 연간 출생이 1000명에 대한 생후 28일 이내의 사망수
- 영아 사망률: 연간 출생아 1000명에 대한 생후 1년 미만의 사망수
- 주산기 사망률: 임신 20주부터 생후 28일까지의 태아와 신생아 사망수
제1주산기 사망률 = (임신28주 이상의 사산 + 초생아 사망수)/연간 출생수×100
제2주산기 사망률 = (임신20주 이상의 사산 + 초생아 사망수)/연간 출생수×100
(22주 이상으로 계산하는 곳도 있습니다~)
- 모성 사망률: 임신기관과 장소에 상관없이 임신 중 또는 출산한지 42일이내의 여성 사망수 (사고 등 우발적인 원인 제외)
즉 임신, 분만과 관련되어진 모성의 사망을 의미합니다.
'임상로그 > 📖 스터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술실 환경 수술실 복장 (0) 2021.12.13 Osteovlasts and Osteoclasts 골아세포와 파골세포 영상 (0) 2021.12.13 지역사회간호학2 보건역학 질병발생의 역학 (0) 2021.12.13 지역사회간호학2 보건 역학 (Epidemiology)의 개념 (0) 2021.12.13 간호학과 실습을 위한 준비- 예방접종 (성인 A형 간염, B형 간염, 인플루엔자, mmr, 수두) (0) 2021.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