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술실 환경 수술실 복장
    임상로그/📖 스터디로그 2021. 12. 13. 21:16

    1. 수술실 환경

     1) 수술실의 구조 - 수술방, 소독실, 린넨 물품 공급실, 휴게실, 탈의실, 환자대기실

     2) 구역관리 - 교차감염의 위험성이 많기 때문에 무균술의 원칙에 따라 구역을 구분

      ㄱ) 제한구역: 수술실과 수술실 복도, 스크럽 장소 등이 해당, 수술복장과 마스크, 모자 등을 착용

      ㄴ) 준 제한 지역: 물품준비실, 갱의실 등이 해당되며 수술복, 모자 께끗한 신발 등 착용

      ㄷ) 허용구역: 평상복을 입고도 출입이 허용되는 구역

     3) 환기 - 수술실 공기 내에 있는 미생물수는 수술실에서 움직이는 사람의 수와 비례

      ㄱ) 수술실은 주위 공기보다 공기압력이 높아야 한다(양압유지 - 양압은 깨끗한 곳으로 부터의 오염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ㄴ) 수술실은 매시간 20-25회의 여과된 공기를 단일방향으로 환기시켜야 하며 이때 최소 20%는 신선한 공기여야 한다.

      ㄷ) 공기 입구는 되도록 바닥보다 높은 위치여야 하고 출구와는 떨어져야 한다.

      ㄹ) 수술실에 공급되는 공기용 필터는 90%이상 먼지를 여과할 수 있어야 한다.

      ㅁ) 수술실의 문은 장비, 의료진, 환자의 출입을 제외하고는 항상 닫아 둔다.

     

    2. 수술실 복장

     1) 마스크: 입과 코를 완전히 덮고 수술 중 마스크가 더러워졌거나 젖었을 때는 교체한다.

     2) 모자: 머리카락을 완전히 감싸야 한다.

     3) 신발: 신발 덮개나 수술실용 신발로 바꾸어 신는다. 혈액의 유출이 많을 것으로 생각되는 수술에서는 환자 혈액으로부터 직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방수가 가능한 신발을 신도록 한다.

     4) 장갑: 멸균된 장갑을 착용해야 하며 수술도중에 구멍이 나면 즉시 새것으로 교환하도록 한다. 개방성인 뼈의 수술이나 정형외과적 인공삽입물을 대체하는 수술일 경우에는 멸균장갑을 이중으로 착용하도록 한다.

     5) 가운: 모든 의료진은 수술실 안에서는 규정된 복장을 착용하여야 한다. 수술실에서의 복장은 제한구역과 준 제한구역 내에서만 입어야 하며, 수술복위에 깨끗한 덧 가운을 입고 나갈 수는 있으나 다시 수술실내에 들어올 때에는 새 수술실 복장으로 갈아입어야 한다. 이 구역의 보수를 맡은 시설 및 장비요원들도 반드시 복장규칙을 지켜야한다. 준 제한 구역에 일시적인 업무로 들어가는 경우에는 덧가운과 수술실 신발로 갈아 신도록 하며 제한구역에 들어갈 때에는 반드시 옷을 갈아입어야 한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