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로그/📖 스터디로그

여성건강간호 기본 개념

조하뚜 2021. 12. 13. 21:13

1. 여성건강간호란?

여성건강간호는 인간의 성 특성을 중심으로 여성의 전 생애를 통해 건강유지, 증진, 질병예방과 회복에 관련된 편치 않음을 간호하며 가족중심 접근 방법을 적용한 간호입니다.

 

2. Smith의 건강모형

- 행복모형: 일반적인 안녕과 자아실현 포함

- 적응모형: 유기체가 환경과 융통성있는 적응을 유지하고 상호작용 하는 것

- 역할수행모형: 상식적인 기준에서 자신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잘 수행할 수 있는 상태

- 임상적모형: 증상이나 징후가 없는 상태 (질환중심)

 

3. 생정통계

- 출산율: 가임여성(15-49세) 1000명에 대한 1년간 총 출산 수

- 합계출산율: 가임여성 1명이 일생동안에 낳은 출생아수(이것 구하는 방법이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지역사회간호학에서

배우시게 됩니다.)

- 사산 또는 태아사망률: 임신 20주 이상의 태아가 출산전에 자궁내에서 사망하는 것

(20주라는 기준이 참 중요하다고 하셨다. 20주 전에 사망하면 유산으로 20주 이후에 사망하면 사산으로 본다.)

- 신생아 사망률: 연간 출생이 1000명에 대한 생후 28일 이내의 사망수

- 영아 사망률: 연간 출생아 1000명에 대한 생후 1년 미만의 사망수

- 주산기 사망률: 임신 20주부터 생후 28일까지의 태아와 신생아 사망수

제1주산기 사망률 = (임신28주 이상의 사산 + 초생아 사망수)/연간 출생수×100

제2주산기 사망률 = (임신20주 이상의 사산 + 초생아 사망수)/연간 출생수×100

(22주 이상으로 계산하는 곳도 있습니다~)

- 모성 사망률: 임신기관과 장소에 상관없이 임신 중 또는 출산한지 42일이내의 여성 사망수 (사고 등 우발적인 원인 제외)

즉 임신, 분만과 관련되어진 모성의 사망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