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청소년 정신 간호학
1. 정신의학적 평가가 필요한 경우
1) 학업의 어려움: 학교성적의 뚜렷한 저하, 열심히 하는데도 불구하고 성적이 안 좋을 때, 학교거부(school refusal)
2) 심한 걱정과 불안: 학교 가는 것, 잠자러 가는 것, 연령에 맞는 활동에 맞는 활동 참여에 지장을 주는 정도의 불안
3) 우울의 신호: 무표정,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싫어함
4) 행동조절의 어려움: 과다활동, 꼼지락거리기, 보통 놀이시간을 넘어선 지속적 움직임
5) 지나친 공격성: 지속적 반항 또는 공격성(6개월이 넘는) 그리고 권위자에 대한 도발적 반항, 설명할 수 없는 잦은 생떼, 비행이 시작됨
6) 입맛의 급격한 변화: 식욕 상실/증가, 체중 저하/증가, 이물질을 먹는 행동
7) 성적인 행동 변화: 지나친 자위행위, 과다 노출
8) 중독 증상: 인터넷, 약물(술, 담배, 본드) 등
2. 소아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의 원인(을 잘 모른다.)
1) 신체적, 생물학적 요소: 유전, 신체상태, 기능, 기질, 뇌손상 여부
2) 경험적(환경적, 학습적) 요소: 육아경험, 부모자식 관계, 부모의 부부관계, 가족의 수, 경제사회적 여건, 훈육, 학교경험
3, 잘못된 생각들
- 발달이 느린 아동은 기다리면 나아진다.
- 학습장애란 학습부진이거나 지진을 말한다.
- 정신지체 아동은 배우거나 스스로를 돌볼 능력이 없다.
- 자폐증은 부모 잘못이다.
- 아동에게는 우울증이 없다.(있으나 몸이 아프다는 식으로 표현함.)
- 아이들이 산만한 것은 당연하며 크면 저절로 좋아진다.
- 자기 자식을 학대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
- 틱 증상은 의지로 조절할 수 있는 버릇이다.
- 소아청소년 정신과에서 주는 약은 수면제나 안정제다.
- 소아청소년 정신과에 가는 환자는 주로 정신병 환자다.
- 청소년기 문제는 시간이 가면 좋아진다.
- 청소년기 고민은 대부분 정체성(주체성) 문제다.
- 청소년기 우울증은 쉽게 알아차릴 수 있다.
- 자살하겠다고 하는 경우는 오히려 시도할 가능성이 낮다.
- 청소년기의 학교 거부는 그리 걱정할 것이 못 된다.
- 청소년 비행은 친구를 잘못 사귀었기 때문이다.
- 청소년기 문제는 가족 간의 대화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4. 자폐성 장애(자폐스펙트럼 장애 Autism spectrum disorder)
- 같이 사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5. 반응성 애착 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 RAD)
- 5세 이전에 시작
- 아동과 양육자 관계에서의 애착 문제가 아동의 다양한 발달을 지연시키는 장애
- 양육자에게 접근하고 회피하는 양가적인 태도를 보이고, 안락한 상황에서도 저항하며, 사람들을 냉정하게 경계.
- 낯선 사람에 대해서도 지나치게 친근감을 나타내는 등 애착 대상을 제대로 분별하지 못함.
- 불안정한 애착 유형
-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을 위한 놀이
6.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 a brain disorder marked by an ongoing pattern of inattention(주의력결핍) and/or hyperactivity(과잉행동)
- impulsivity(충동성) that interferes with functioning or development
- 신경발달장애의 하위 유형에 들어감
- 대뇌 전두엽의 기능적 미숙이 ADHD의 주요원인.
- 전두엽은 두뇌로 들어오는 대부분의 정보가 모이고 통합되는 부위로 전두엽은 실행기능을 담당.
- 실행기능이란 자기 자신을 통제하면서 목표 달성에 필요한 인지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어떤 일을 계획하고, 순서를 정하며, 일을 시작하고, 반응을 억제하며, 추론하며 집중을 유지하는 등의 기능.
7. 학습장애(Learning disability)
- 보통 또는 그 이상의 지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내적인 요인으로 인해 기본적인 학습 능력에 심한 어려움이 있는 상태.
- 아동의 연령, 공식적인 교육, 지능에 비해 아동의 읽기, 산수, 쓰기의 성취도가 기대되는 수준보다 낮은 경우에 진단함.
- 읽기장애(Reading Disorder, dyslexia), 쓰기장애(Disorder of Written Expression, dysgraphia)는 1학년 때 발견
- 산수장애(Mathematics Disorder, dyscalculia)는 고학년 지나서 발견.
8. 행동장애(파괴적 행동장애)
1) 적대적 반항장애(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
- 권위 있는 인물에 대한 비협조적, 반항적, 적대적 행동
- 부정적인 자아개념, 불안, 우울
- 사회적, 학업적, 직업적 어려움(8세에 주로 발견, 남아>여아)
- 집안에서 더 심해지는 경향
- 30%는 품행장애로 발전, 10%는 반 사회적 성격장애로 진단받음
- 부모의 알아차림과 지지가 중요(10세 이전에 치료해야 효과가 좋음)
- 부정적 행동 처벌보다 잘한 행동에 칭찬
2) 품행장애(conduct disorder)
- 규범, 규칙, 법과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
- 지속적인 반사회적 행동(거짓말, 무단결석, 공공기물파손, 가출, 음주, 음란, 강간, 동물학대, 동물에 대한 공격성, 절도 및 강도, 재산파괴, 사기, 심각한 규칙 위반)
- 냉담하고 감정을 드러내지 않음
- 죄책감, 후회가 없고, 낮은 성취에도 무감각, 감정폭발
3) 간헐적 폭발장애(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 IED)
- 매우 사소한 사건에 30분 이내의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폭력 행동과 분노표출
- 충동조절장애, 분노조절장애
- 남아>여아
- 80%가 다른 질병(물질 남용, A옹, ODD, 품행장애, 불안장애, 우울증)과 공동이환
- 아동기에 외상, 방임, 학대받은 경험
9. 틱/뚜렛(소리+행동)장애
1) 틱이란?
- 갑자기, 반복적으로, 일정하게 몸짓을 하거나 또는 소리를 내는 현상
- 비수의적: 일부러 하는 것이 아님
- 일정한 리듬이 없음, 뚜렷한 목적이 없음
- 수면 중에도 틱을 할 수 있음.
-> 야단을 친다고 고쳐지지 않으며 의지로 조절되지 않음
->잠시 참을 수는 있지만 곧 더 늘어남.
2) 틱의 구분
- 운동틱: 근육이 수축하여 눈에 보이는 행동으로 나타남
- 음성틱: 발성에 관여하는 후두, 구강, 횡격막 등의 근육 기관이 불수의적으로 수축하여 생기는 것
- 단순 틱: 하나 혹은 소수의 근육군이 관여
- 복합 틱: 여러 근육이 동시에 수축하는 것, 여러 종류의 정상적인 운동과 비슷함
ex) 펄쩍 뛰기, 팔다리 동시에 펴기, 무릎 구부리기
3) 단순 운동틱의 예
- 눈동작: 깜박거리기, 겉눈질하기, 빠르게 눈알을 돌리거나 굴리기, 갑자기 짧은 순간 동안 눈을 크게 뜨기 등
- 코, 입, 혀의 동작이나 얼굴 찡그림: 코를 실룩거리기, 혀 내밀기, 입술 핥기, 이를 꽉 다물기 등
4) 복합 운동틱의 예
- 눈동작: 놀라거나 당황한 듯한 눈의 동작, 시끄러운 소리를 들은 것처럼 잠깐 동안 옆을 보는 동작
- 코, 입, 혀의 동작이나 얼굴 찡그림: 어떤 냄새를 맡는 것처럼 콧구멍을 벌렁거리기, 미소짓기, 기타 우스꽝스러운 표정 등
- 팔이나 손의 동작: 머리를 빗듯이 손가락으로 머리를 가르는 행동, 손가락 세기, 어떤 물건이나 다른 것들을 만지거나 집는 동작 등.
- 다리나 발, 발가락의 동작: 앞으로 한 발짝 간 후 뒤로 두 발짝 가는 동작, 쭈그리거나 무릎을 깊이 굽히는 동작
5) 단순 음성틱
- 빠르고 의미 없는 소리를 내는 것
ex) 기침소리, 헛기침소리, 코를 훌쩍거리는 소리, 휘파람 부는 소리, 동물 또는 새소리 등
6) 복합 음성틱
- 자신도 모르게 반복적이고 목적 없는 낱말, 문구 또는 상황에 맞지 않는 말을 하는 것
- 아주 짧은 동안만 자발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 일부러 그러는 것으로 오해 받기도 함
ex) 욕설증(외설적 단어 사용), 말되풀이증(자신만의 단어 반복), 반향어증(다른사람의 마지막 소리, 단어, 문장을 반복)
7) 틱 장애의 종류
- 뚜렛 장애(다양한 운동 틱과 음성 틱이 1년 이상 지속적)
- 만성 운동성 또는 음성틱장애(운동 틱이나 음성 틱이 1년 이상, 둘 다 동시에 나타나지 않음)
- 일시적 틱 장애(운동 틱이나 음성 틱이 1개월~1년 지속)
8) 틱의 빈도
- 뚜렛병: 1000명 중 1-6명(0.1~0.6%)
- 만성 틱 장애: 10000명 중 100~200명(1.5%)
- 일과성 틱 장애: 10000명 중 500~1500명(10~15%)
- 남자 아이에서 1.5~9배 더 많음